자유게시판

대도시의 사랑법(사랑과 우정사이, 고충과 성장사이, 청춘 )-평점 6점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-06-20 04:44

본문

'탐정: 리턴즈' , '미씽: 자취를 감춘 여자'의 이언희 감독이 동명의 방상영 작가의 소설을 영화로 연출했다. 요즘 영화계에서 많이 사라진 청춘물이자 버디무비로 볼 수 있는데 여기에 많이 약화된 로코 장르의 문법도 활용하는 영화가 된 것 같다. 사실 비슷한 상황이나 이야기들에 더 코믹성을 더하거나 장르성을 더한 이야기는 많았다. 하지만 이 영화는 원작소설의 힘에 힘입어 청춘을 제대로 끼얹었다. 그렇다보니 묘한 라인을 타는 것이 흥미롭게 느껴진다. 우정과 사랑사이를 말 그대로 넘나 들기도 하고, 그 감정선을 타면서도 서로 상대의 청춘과 삶의 이야기를 섞어냈기 때문이다. 여기에 흔히 겪는 청춘의 한 일대기가 더해지니 기존의 청춘물 같으면서도 뭔가 조금 더 다른 지점의 소스가 끼얹어진 느낌이 만들어졌다. 전반적인 압축력도 좋은 듯 하다. 아무래도 소설을 각색하다보면 스케일상 쳐내야 하는 부분이 많고, 압축해야 되는 감정선이 많은데 그런 씬들이 많이 보인다. 그렇게 다룰 걸 다 다루면서도 너무 무겁지 않게 가려고 한 지점도 인상적이다. 필연적으로 무거워질 수밖에 없거나 뻔해지는 지점에서 적당히 빠져들다 나왔기 때문이다. 가령 파출소씬이 그렇다. 친숙한 막장 드라마나 로코 드라마가 될 뻔할때 잘 빠져나온다. 게다가 감독은 핵심 코드는 결국 청춘 서사임을 잊지 않았다. 어떤 사연이든 결국 겪는 것이 청춘의 한 과정이고, 이 과정에서 누구나 겪을 지점들을 잘 이끌어냈다. 특히 압축적으로 말이다. 캐릭터성을 잘 살렸기에 더 많은 것들이 함축되고, 다르면서도 비슷한 경험들의 공감력을 이끌어 내게 만들었다. 그러면서도 청춘물의 핵심인 성장까지도. 고로 '대도시의 사랑법'은 누구나 겪었을 혹은 청춘으로 대표되는 지점들을 익숙하면서도 조금 다르게 그려내는데 성공한 흥미로운 청춘물이 된 것 같다. 한동안 너무 패턴화된 청춘물로만 소비되거나 너무 현실과 동떨어진 방향으로 장르성을 뒤집어쓴 채 다뤄지던 것들이 오랜만에 제자리를 찾은 듯 하다. 결국 청춘은 무작정 부딪치고 도전하고 상처받고, 때론 실수하고 어설픈 성공도 맛보고 그럼에도 현실에 좌절하다가도 이것들이 반복되면서 조금은 달라지는 회복탄력성의 시절 아닌가. 그렇게 나 자신을 알아가고 받아들여가는 시절이다. **지나가야만 다시 느껴지는 것들이 있다. ***그래서 어찌보면 청춘물은 청춘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가 아니기도 하다. ****극화된 현실과 실제의 현실 사이의 간극은 괴로우니까. *****현실은 더 뭔가 일어날 것 같으면서도 안 일어난다. ******게다가 기억과 추억은 언제나 왜곡되고 편집된다. *******사실은 망가진 시절이 더 많다. ********그래도 되는 유일한 시절이다. *********하지만 요즘은 그 시절조차 실패를 용납안하거나 민감한 시간으로 소비하려는 것 같다. **********그럴수록 더 마음대로 되지 않는 현실만 다가올 뿐이다. ***********AI가 나오면서 확실해지는 것은 인간처럼 실패를 많이 경험해봐야 더 뛰어나지게 된다는 점이다. ************과정없이 결과만 보면 더 이해할 수 없게 되는 부분이 있다. *************결과만을 취할수도 없게 된다. **************그래서 언제나 열심히 뭔가 했던 과정이 필요한 것 같다. ***************이 때의 열심은 성공이 아니라 실패에 가깝다. ****************처음부터 성공한 사람들은 천재이다. *****************혹은 운이 아주 좋은 사람들이다. ******************그래서 첫사랑은 항상 애련하다. 기억에 남을 수밖에 없다. *******************점점 데이터가 쌓이고 경험이 쌓이면 다른 식으로 실패를 덮고 치장한다. ********************편견과 쌓인 루틴대로 불편한 걸 덮어버린다. *********************그래서 점점 더 새롭고 낯선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어지게 된다. **********************그 때가 바로 청춘에서 멀어지기 시작하는 때가 아닐까. ***********************달라지지 않았다고 느낀다면 아직도 청춘이 아니라 멈춰버리고 고립된 것일지도 모른다. ************************혹은 회피하거나 외면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언제나 든 자리보다 난 자리가 크게 느껴지는 것처럼. **************************이 지점들을 익숙하면서도 다르게 담아내려 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오해를 이용하는 지점들도 재치가 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드라마 버전은 다른 사람들이 만들기에 어떻게 나올지 궁금해졌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영화는 아무래도 압축적이고 빠를 수밖에 없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드라마에는 더 일상성이 많이 들어갈 것이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박상영 작가의 까메오가 그렇게 나오다니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곽동연 배우는 여기서도..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교차로 서로의 인연을 활용해서 발판삼는 것도 좋은 구성처럼 느껴진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꼭 성장해야만 청춘인것도 아니다. 겪어냈으면 청춘이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역시 자취는 룸메이트가 중요하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은근한 수저이야기도 나온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똑같은 시간도 모두 다르게 간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사회화는 언제나 다르다와의 싸움인 것 같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집단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집단을 위한 지점이 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큰 덩어리를 굴러가게 하려고 모이는 것처럼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물론 더 쉽게 굴러가는 방법이 있고, 어렵게 가는 방법이 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정답은 없다. 그때그때 다를뿐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결국 다른 상황에 맞춰 빠르게 변화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 변할 필요도 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그것 때문에 가끔은 전진을 위한 후퇴도 하게 된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전진의 연속만 있는 것이 길이 아니니까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신포도 효과를 이렇게 활용할 줄이야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과거에는 언덕 반지하가 많았는데 요즘은 옥탑방이나 꼭대기층이 많아진 것 같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프랑스어가 자유와 저항의 상징처럼 활용되고 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하지만 그 프랑스에서조차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그래도 꼬박꼬박 시험은 치는 학생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졸업을 위한 학점은 피할 수 없다. 등록금이 아까워서라도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그래서 생략된 부분들중에 더 깊은 현실들이 숨어 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충격을 받아들이는 것중에 하나가 합리화와 의지이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다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의 합리화를 하게 된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이태원이 지금은 홍대로 변한 느낌이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코로나 이전 시대의 인장들이 보인다. 그 잔상들로 살아가고 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확실히 지금 우리는 뉴노멀 시대에 놓여져 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이제 청춘도 완전 달라지기 시작했다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그 시대의 청춘물도 언젠가 나올 것이다. 그 청춘을 겪은 사람들이 쏟아져 나올때쯤에. 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인정할 수 있을때와 놔줄 수 있을 때, 포기할 수 있을 때 조금씩 다른 면으로 나아간다.

대표번호1533-8047